각종 사전에서 새롭게 찾아 본 언어 정보는 어떤 것이 있는지 소개해 보십시오. 일반사전에서 특수사전까지, 그리고 언어사전에서 …
페이지 정보
본문
각종 사전에서 새롭게 찾아 본 언어 정보는 어떤 것이 있는지 소개해 보십시오. 일반사전에서 특수사전까지, 그리고 언어사전에서 백과사전에 이르기까지 사전의 형식을 갖춘 텍스 |
자료다운로드클릭: 각종 사전에서 새롭게 찾아 본.hwp ![]() |
목차 |
[언어학개론] 각종 사전에서 새롭게 찾아 본 언어 정보는 어떤 것이 있는지 소개해 보십시오. 일반사전에서 특수사전까지, 그리고 언어사전에서 백과사전에 이르기까지 사전의 형식을 갖춘 텍스트는 모두 가능합니다. 1. 표준어 발음법 2. 표준어로 추인(追認)해 주는 성격의 규정 3. 방언이던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 경우 4. 복수표준어 규정 |
본문 |
[마딛따]가 오히려 합리성을 지닌 발음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려하여 [마딛따]를 원칙적으로 표준 발음으로 정하되, [마싣따]도 표준 발음으로 허용하기로 한 것이다.(제15항 참조.) 2. 표준어로 추인(追認)해 주는 성격의 규정 방언이던 단어가 표준어보다 더 널리 쓰이게 된 것은,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 이 경우, 원래의 표준어는 그대로 표준어로 남겨 두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도 표준어로 남겨 둠.) |
참고문헌 |
어문 규정 해설 표준어규정 한국어대백과사전 표준한국어사전 |
- 이전글홉스테드((G. Hofstede)가 제시한 사회문화적인 차원 즉 ‘권력거리(power distance)의 크기, 집단주의(collectivism) 대 개인주의(individualism), 여성성(feminity) 대 남성성( 20.05.15
- 다음글내가 생각하는 사회복지란? 1. 사회복지를 접하기전 나의 삶 2. 사회복지를 접하고 나서의 나의 삶 3. 사회복지를 기반으로 한 앞으로의 나의 삶 20.05.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