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에게 복지서비스(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관 혹은 단체 한 곳을 주변에서 찾아서 관련기관 및 단체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방문…
페이지 정보
본문
청소년에게 복지서비스(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관 혹은 단체 한 곳을 주변에서 찾아서 관련기관 및 단체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실천현황보고서를 작성해 보시오. |
자료다운로드클릭: 청소년에게 복지서비스(프로그램).hwp ![]() |
목차 |
[청소년복지] 청소년에게 복지서비스(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관 혹은 단체 한 곳을 주변에서 찾아서 관련기관 및 단체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실천현황보고서를 작성해 보시오. Ⅰ. 서론 Ⅱ. 본론 1. 해당 기관의 서비스 주요 내용 2. 해당 기관의 조직구성 3. 실천현황보고서 1) 주요사업 (1) 상담 및 심리검사 (2) 교육 (3) 아웃리치 (4)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CYS-net) 2) 공통사업 (1) 청소년 동반자 사업(Youth Companion) (2) 학교폭력 상담사 배치사업 (3) 학교폭력대응 솔리언 또래상담사업 Ⅲ. 결론 |
본문 |
소년 통합 지원체계의 중심이 되어 위기 청소년의 발견과 보호를 위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학교, 교육청, 경찰노동관서, 국·공립 의료 기관, 보건소, 청소년 쉼터, 청소년 지원 시설을 연계기관으로 지정하여 업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위기 청소년에 대해 상담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제공하지만, 상담복지센터에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범위를 벗어난 취업, 의료, 보호 등의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인 또는 보호자의 희망 여부를 확인한 후에 연계 기관으로 의뢰하고 있다. 2. 해당 기관의 조직구성 창원시 청소년 상담복지센터는 창원센터와 마산센터, 진해센터 세 군데로 나뉘어져 있으나 사업진행시에는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각 센터별로 팀장과 상담지원팀, 통합지원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창원센터는 팀장 1명과 팀원 5명, 마산센터는 팀장 1명과 팀원 4명, 진해센터는 팀장 1명과 팀원 4명으로 운영되고 있다. 상담 지원팀에서는 청소년대상 상담사업과 심리검사, |
참고문헌 |
창원시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홈페이지 김동백. (2009). 「청소년 복지지원체계의 개선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양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정규석 김영미, 청소년복지의 이해, 학지사, 2017 |
- 이전글청소년지도자로서 갖추어야할 역량과 윤리적 자세를 파악하여 정리한 후, 이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서술하시오. 20.07.17
- 다음글인생에 있는 큰 비밀은 큰 비밀 따위는 없다는 것이다 20.07.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