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한국어3의 14단원 중 한 단원을 선택하여 듣고 말하기 부분을 재구성해 수업계획을 수립하되, 학생에게 배부할 부교재 형태로…
페이지 정보
본문
세종한국어3의 14단원 중 한 단원을 선택하여 듣고 말하기 부분을 재구성해 수업계획을 수립하되, 학생에게 배부할 부교재 형태로 개발합니다. 또한 개발 자료의 듣기 전 활동의 의도와 수업 방법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설명해봅시다.
세종한국어3의 14단원 중 한 단원을 선택하여 ′듣고 말하기′부분을 재구성해 수업계획을 수립하되, 학생에게 배부할 부교재 형태로 개발합니다. 또한 개발 자료의 듣기 전 활동의 |
자료다운로드클릭: 세종한국어3의 14단원 중 한 단원.hwp ![]() |
목차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이해론] 세종한국어3의 14단원 중 한 단원을 선택하여 듣고 말하기 부분을 재구성해 수업계획을 수립하되, 학생에게 배부할 부교재 형태로 개발합니다. 또한 개발 자료의 듣기 전 활동의 의도와 수업 방법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설명해봅시다. Ⅰ. 서론 Ⅱ. 본론 1. 학습 목표 2. 교육진행 3. 도입 4. 제시 5. 연습 6. 활용 듣기 말하기 1) 듣기 전 2) 듣기 3) 말하기 4) 자유발화 Ⅲ. 결론 |
본문 |
상대방과 의사소통하는 데 실패한다면 성공적인 말하기라고 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말하기란 상대방의 말을 듣고 판단하여 자신의 의도에 맞게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으로 의사소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언어능력이란 문법적으로 정확하고 올바른 문장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구두로 의사소통 할 수 있는 능력, 학습자가 주어진 상황에서 적절한 언어 표현을 사용하여 주어진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내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듣기와 말하기의 개념을 토대로 세종한국어3의 14단원 중 한 단원을 선택하여 ′듣고 말하기′부분을 재구성해 수업을 계획해 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학습 목표 쇼핑에 필요한 어휘와 표현을 익혀서 물건을 |
참고문헌 |
국립국어원, 세종한국어3, 2013 김청자(2014), 한국어 듣기 교육론,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2』, 아카넷. 양명희 김정남(2011), 『한국어 듣기교육론』, 신구문화사. 이해영(2002).「한국어 듣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전은주(1999).「말하기 듣기 교육론」. 박이정 |
- 이전글자폐성 장애 학생을 위한 물리적 공간의 구조화의 효과를 서술하시오. 20.08.19
- 다음글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학자들의 정의를 정리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사회복지실천을 정의하시오. 20.08.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