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IS MOBILE PAGE (~767)
WEBIS TABLET PAGE (768~991)
WEBIS DESKTOP PAGE (992~1279)
WEBIS BIG DESKTOP PAGE (1280~)

다음 한국어 교재 중 두 권을 선택하여 한글 자모와 그 발음 교육을 위해 교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비교하여 기술하고,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분석해 봅시다.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 HOME
  • 복지관 이야기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 HOME
  • 복지관 이야기
  • 자유게시판

다음 한국어 교재 중 두 권을 선택하여 한글 자모와 그 발음 교육을 위해 교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비교하여 기술하고, 어…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하우허성 댓글 0건 조회 5,558회 작성일 20-11-04 14:40

본문

다음 한국어 교재 중 두 권을 선택하여 한글 자모와 그 발음 교육을 위해 교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비교하여 기술하고,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분석해 봅시다.
자료다운로드클릭: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 한글 자모.hwp
목차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발음교육론] 다음 한국어 교재 중 두 권을 선택하여 한글 자모와 그 발음 교육을 위해 교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비교하여 기술하고,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분석해 봅시다.

Ⅰ. 서론

Ⅱ. 본론
1. 한글 자모와 그 발음교육의 중요성

2. 교재에서 한글 자모와 그 발음의 교육 방법

3. 교재에 나타난 실제 교육사례

4. 자음의 자모 및 발음 교육

5. 발음 교육을 위한 방법

Ⅲ. 결론
본문
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한글은 상징 기호인 동시에 발음의 특성까지도 보여준다는 점에서 여타의 표음문자와는 질적으로 다르다. 이러한 한글의 특성을 잘 활용한다면 한국어 교육의 초기 단계에서 실시되는 자모 교육과 함께 발음 교육까지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2. 교재에서 한글 자모와 그 발음의 교육 방법
기존의 많은 한국어 학습교재들을 살펴보면 주로 회화와 문법에 치중하였다. 모든 교재에 있어서 발음 부분은 앞쪽에 따로 두고 한두 쪽에서 많으면 대여섯 쪽 정도의 분량을 할애하고 있는데, 대개 자모의 간단한 발음기호와 자모·음절의 쓰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자모의 발음이나 음운변동에 따른 발음 설명은 교사에게
참고문헌
서울대학교어학연구소(1979),『한국어 1』, 명지출판사.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1992),『한국어 1』 연세대학교출판부, 1992. 연세대학교한국어학당(1995),『한국어발음』, 연세대학교출판부.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2007), ≪연세한국어읽기1≫, 연세대학교 출판부.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편(2007), ≪연세한국어1≫, 연세대학교 출판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관련사이트

FLOAT LE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