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두 교수요목이 갖는 공통적인 문제점과 그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페이지 정보
본문
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두 교수요목이 갖는 공통적인 문제점과 그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예를 들어 서술하시오. |
자료다운로드클릭: 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hwp ![]() |
목차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 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 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두 교수요목이 갖는 공통적인 문제점과 그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예를 들어 서술하시오. Ⅰ. 서론 Ⅱ. 본론 1. 문법적 교수요목의 개념과 특징 2.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의 개념과 특징 3. 두 교수요목이 갖는 공통적인 문제점 4.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Ⅲ. 결론 |
본문 |
사용하는 언어를 분절적 단위로 구분해 언어의 의사소통적 본질을 왜곡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또한 어떤 개념과 기능을 선택하고 어떤 순서에 의해 배열할 것인가에 대한 목록을 선정하고 나열하여 교육한다는 측면에서 결과적으로 문법적 교수요목과 동일한 특징을 가진다는 측면에서 언어의 의사소통적 본질에 관심을 본질적으로 두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4.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위에서 지적한 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보다 |
참고문헌 |
안경화(2007), 한국어 교육의 연구, 한국문화사. 김정숙(2003),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 요목 설계방안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4-3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숙(2003).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14(3). 민혜정(2004). 한국어 교재의 과제 중심 교수요목 설계 방안.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영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월인, 2001. 한재영․박지영․현윤호 외, 한국어 교수법, 태학사, 2005. 이덕희(2003). 요구분석을 통한 학문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 이전글품사 분류의 기준을 제시하고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20.02.11
- 다음글관광 및 한국어 학습을 목적으로 3주 동안 한국을 방문한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재에 사용될 교수요목을 작성해 보십시오. 20.02.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