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사 분류의 기준을 제시하고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페이지 정보
본문
품사 분류의 기준을 제시하고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
자료다운로드클릭: 품사 분류의 기준을 제시.hwp ![]() |
목차 |
[한국어문법론] 품사 분류의 기준을 제시하고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Ⅰ. 서론 Ⅱ. 본론 1. 품사의 개념 2. 품사 분류의 기준 1)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2) 관계언: 조사 3) 용언: 동사, 형용사 4) 수식언: 관형사, 부사 5) 독립언: 감탄사 3.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 Ⅲ. 결론 |
본문 |
다음으로 큰 단위는 형태소이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형태소가 합쳐져 단어가 되는데, 단어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품사 분류를 통해서 개별 단어의 특성을 알아보고, 단어의 의미 관계와 의미 변화의 양상에 대해 탐구하면 정확한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품사 분류의 기준을 제시하고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를 설명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품사의 개념 품사란 단어를 문법적 성질의 공통성에 따라 몇 갈래로 묶어 놓은 것이다. 단어가 문장 내의 자립 여부에 따른 용어임에 비하여, 품사는 이 단어를 독립적으로 바라본 용어이다. 다시 말하면 품사는 최소 자립 |
참고문헌 |
이주행 지음, 한국어 문법론, 역락, 2011 목정수 지음, 한국어 문법론, 월인, 2003 |
- 이전글1. 어문규정에 제시된 10개의 단모음을 모음의 분류 기준에 따라 IPA를 밝혀 제시하시오. 20.02.11
- 다음글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두 교수요목이 갖는 공통적인 문제점과 그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예를 들어 서술하시오. 20.02.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